![]() |
구강건조증(이비인후과) 타액선, 즉 침샘에는 크게 크기가 큰 주타액선과 작은 부타액선의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주타액선은 귀 밑에 있으며 크기가 가장 큰 이하선, 턱 밑에 있는 악하선, 혀 밑에 있는 설하선이 좌우 각각 한 쌍 존재하며, 부타액선은 비강, 볼 점막, 구개, 혀를 비롯하며 인두 및 기관지에까지 다양하게 퍼져 있습니다. |
![]() |
구내염 구강에 발생하는 통증을 동반하는 염증성 질환을 통틀어 구내염이라 합니다. 그러나 구강의 점막에 발생하는 질환들은 다양하면서도 병변의 모양이 서로 비슷하여 감별진단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세심한 병력청취와 관찰이 필요합니다. |
![]() |
굳은살과 티눈 굳은살은 반복적인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각질층의 두께가 증가하여 생기는 질환입니다. 주로 손바닥이나 발바닥, 특히 관절이 돌출되어 있는 부위에 잘 발생합니다. 티눈도 굳은살과 마찬가지로 발바닥과 발가락에 잘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병변의 기저부는 피부 표면이고 첨단부가 피부 안쪽으로 향하며 중심부에 원뿔모양의 과각화된 중심핵을 형성하여 통증이나 염증을 유발하는 피부질환입니다. |
![]() |
귀의 형태 이상 귓바퀴는 형태적인 이상이 있어도 중요한 문제로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귀바퀴형태의 이상이 있는 환자에 있어서 환자의 성장기나 성격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소극적 사회 생활을 야기할 뿐 아니라, 은폐해 있는 청력을 비롯한 다른 기형이 동반될 경우도 있습니다. |
![]() |
근시 근시는 먼 곳을 바라볼 때 물체의 상이 망막의 앞쪽에 맺히는 굴절이상으로, 먼 곳은 잘 안 보이고 가까운 곳이 잘 보이는 눈을 말합니다. 근시의 종류는 크게 단순 근시, 병적 근시, 가성 근시, 합병 근시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단순 근시는 눈의 굴절력에 의한 초점거리에 비해서 안구의 길이가 길어서 생기는 근시로 20세가 되면 더 이상 진행하지 않습니다. |
![]() |
급성 간부전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기관으로 무게가 약 1.2-1.5 kg에 달하며 이는 성인 체중의 약 1/15에 해당합니다. 간은 우상복부(배의 오른쪽 윗부분)에 위치하며 갈비뼈에 의해 보호되고 있습니다. |
![]() |
급성 심근경색증 급성 심근경색증이란 심장의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갑자기 막혀서 심근에 괴사(썩음)가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
![]() |
급성호흡곤란증후군 폐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체외의 공기를 체내로 흡입하여 체내에 필요한 산소를 혈액에 공급하고, 대사산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체외로 배출하는 것입니다. |
![]() |
기침(성인) 기침은 병-의원에 오는 환자들이 가장 많이 호소하는 증상 중의 하나입니다. 그 원인으로는 경한 감기에서부터 폐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기 때문에 소홀히 대할 수 없는 증상이기도 합니다. |
![]() |
낙상 낙상은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몸을 다치는 것으로 주로 노인에서 발생 하지만 모든 연령에서 발생합니다. 특히 노인 낙상의 발생은 점점 늘어나고 심각한 손상을 동반하거나 낙상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까지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