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ALL MENU

닫기
예약/조회
진료일정
간편예약
진료과예약
의료진예약
예약조회
비회원예약조회
병원소개
병원소개
병원장인사말
미션&비전
주요현황
찾아오시는길
층별안내
모바일앱
주차안내
전화번호
진료안내
예약안내
외래진료
입원/퇴원
응급진료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간병업체 정보
대리처방
의무기록/영상CD 발급안내
고객의소리
진료과/센터/클리닉
진료과
전문센터
클리닉
암센터
암센터 소개
암 특성화센터
첫방문원스탑서비스
다학제 진료시스템
NGS검사
호스피스완화의료
편의시설
찾아오시는 길
충남지역암센터
종합검진센터
검진소개
프로그램
이용안내
종합검진예약
병원소식
병원뉴스
채용정보
건강정보
공지사항
입찰정보
콧속 물혹의 발병 원인 밝히고 새로운 치료법 제시
작성자 2020-10-12 00:00 조회51,121회
  • 담당부서 : 홍보팀
  • 문의번호 : 041-550-7012
  • 최종수정일자 : 2024-06-20

본문

콧속 물혹의 발병 원인 밝히고 새로운 치료법 제시


단국대의대-서울대의대 교수팀 공동연구

 

콧속 물혹(코폴립)은 축농증(만성 부비동염)에 흔히 동반되는 질환으로 잘 낫지 않고 재발하는 대표적 난치성 질환이다. 이러한 코폴립의 발병 원인과 새로운 치료법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발표되었다.

 

 

 


단국대의대/단국대병원 이비인후과 모지훈 교수, 서울대의대 약리학/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신현우 교수 연구팀은 윈트(Wnt) 신호전달의 활성화가 상피간엽이행을 통해 코폴립(물혹)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을 유발할 수 있음을 새로이 발견했다(Effects of Wnt signaling on 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 in chronic rhinosinusitis with nasal polyp).


[좌 - 단국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모지훈 교수 / 우 -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신현우 교수]

 

상피간엽이행(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은 외부로부터의 오염원이나 병균으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는 상피세포의 장벽(barrier) 기능이 없어지고 세포증식이나 섬유화, 그리고 이동능력이 높아지는 간엽세포로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연구팀에 따르면 “Wnt 신호전달이 강화된 쥐를 이용한 만성 부비동염 모델의 경우 그렇지 않은 쥐와 비교하였을 때 코폴립이 더 많이 생겼으며, 점막의 염증도 악화되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동물모델의 콧속 점막 분석을 통해 Wnt/β-catenin 신호전달 물질과 전사인자의 증가 및 상피간엽이행 현상을 확인하였다. 만성 부비동염 환자의 비강 조직에서는 Wnt 및 그 수용체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었고, 실제로 비강 상피세포에 Wnt3A로 자극하였을 때 상피간엽이행이 발생하였다. 또한 Wnt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ICG-001 약물을 주입한 동물 실험에서 코폴립 및 부비동 염증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연구자인 모지훈 교수는 “이번에 발견된 만성 부비동염의 발생 기전에 관여된 Wnt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할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한다면, 코폴립과 만성 부비동염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배준상 연구교수(단국대학교)와 류광희 교수(순천향대학교)가 공동 제1 저자로 영국 의학 저널(British Medical Journal)에서 발행하는 호흡기학 분야 최상급 국제학술지인 Thorax(IF 10.844, JCR 상위 10%) 온라인판에 6일(현지시간) 실렸다.


이번 연구는 단국대학교 모지훈 교수, 서울대학교 신현우 교수의 공동연구를 통해 진행됐으며,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사업, 중점연구소사업 및 보건산업진흥원의 세계선도 의생명과학자 육성사업(2단계)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문의] 이비인후과(041-550-6480)